동방미디어 주식회사

KoreaA2Z
메뉴 검색

제품소개
Product Descriptions

  • 한국대중음악연구
    ㆍ제1강 노래 속의 도시(1) - 대중가요에서 도시를 반영하는 방식 - 식민지적 근대의 특성과 도시 - 대중가요, 도시, 욕망 - 대중가요와 도시 - 대중가요가 세상을 드러내는 방식 - 고복수의 , 박부용의 음악 감상 ㆍ제2강 노래 속의 도시(2) - 1950∼60년대 '도시 자체'가 욕망의 대상이던 시대 - 식민지 시대, 일본의 경유한 근대화의 명암 - 서구로부터 들어온 근대화 / 근대화와 동반된 식민지화 - 트롯과 일본의 (엔까 演歌) 양식 - 주요 노래 분석: 이난영의 및 , 울금향의 , 박단마의 , 현인의 , 나애심의 ㆍ제3강 노래 속의 도시(3) - 1960년대 서구 지향적 도시 속의 명암 - 1950, 60년대 미국형 도시에 대한 욕망과 좌절 - 근대화의 꿈: 일본에서 미국 중심으로 재편 - 주요 노래 분석 및 감상: 백설희의 , 박경원의 , 한명숙의 , 최희준의 , 봉봉사중창단의 , 김상희의 , 이시스터즈의 , 이미자의 제4강 노래 속 도시(4) - 1970∼80년대 대도시의 새로운 모습 - 전후 세대로의 세대 교체 - 1970년대 초기 포크: 동경 대상으로서의 시골과 자연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이장희의 , 사월과오월의 , 남진의 , 송창식의 - 김민기, 민중가요 - 1980년대 중반의 트롯: 강남 신흥 유흥가 배경의 향락가 - 주현미의 , , 문희옥의 ㆍ제5강 노래 속 도시(5) ―1990년대 혐오하지만 피할 수 없는 도시의 삶 * 노래 분석 및 감상 - 노찾사의 , 산업선교회의 , 정태춘의 , , < 건너간다>, 공일오비의 과 , 넥스트의 - 1980년대 정태춘의 독특함: 고뇌와 긴장감 - 1990년대 도시인들의 정서 - 도시에서의 삶에 대한 회의적 시각 ㆍ제6강 대중가요 속의 사물들(1) - 대중 가요 속의 사물들: 식물, 기차- ① 전통적 생활 방식과 나무·식물: 잔디, ② 외적 풍경으로서의 나무―버드나무 - 외적 풍경을 구성하는 사물의 심층적 의미 - 일제 시대 대중가요에 등장하는 식물종: 해방 전 버드나무 / 해방 후 장미 - 식물 표현의 방식 - 상투화된 꽃의 비유어 - 기차/철도―식민지 시대 근대화의 상징: 최남선 (1908)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채규엽의 , 강흥식의 , 백년설의 ㆍ제7강 대중가요 속의 사물들(2) - 식민지 시대의 풍경 속의 식물들 - 근대화의 상징 철도와 그 변화: 이별 - 해방 후 대중가요의 나무와 식물 - 도시와 서양 이미지의 식물들 증가, 사랑의 비유로서의 장미 - 1940년대말∼1950년대 대중가요의 제목: 장미, 카네이션, 라일락의 압도적 사용 - 해방후 사랑하는 사람의 비유―장미 - 노래 분석 및 감상: 박건의 , 사월과오월의 , 다섯손가락의 , 박미경의 ㆍ제8강 대중가요 속의 사물들(3) - 풍경 식물로서의 포플러와 라일락 - 이름 없이 등장하는 꽃과 나무 - 고향을 상기시키는 식물들: 버드나무, 동백꽃 - 호남선의 의미 - 기차의 새로운 의미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윤형주의 , 이문세의 , 조동진의 , 이연실의 , 홍민의 , 송창식의 , 손인호의 , 안정애의 ㆍ제9강 대중가요 속의 사물들(4) - 민중가요 속의 사물들이 보이는 다양성 - 기차의 상징적인 의미 - 70년대 후반의 기차의 이미지: 일상 탈출의 이미지 - 민중가요 속의 사물의 상징적 의미 - 인간을 비유하는 식물 - 대중가요와 민중가요의 차이점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여행스케치의 , 김민우의 , 박미선의 , 양희은의 , 이연실의 , 양희은의 , 안치환의 , 이영도 시조 , 조민아 곡 ㆍ제10강 노래 속의 여자(1) - 전통적인 여성상, 어머니, 매춘부 - 대중가요에서 여성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- 여성과 함께 존재하는 남성 - 1960년대 대중가요의 여성상 - 어머니상, 누나의 이미지 - 사회와 가정 속의 남성 - 변하지 않는 어머니상 - 기생과 매춘부상 - 노래 분석 및 감상: 김소월 시 , 신세영의 , 김영춘의 , 이화자의 ㆍ제11강 노래 속의 여자(2) - 매춘부 여성상의 변화 - 기생출신 가수의 등장 - 일제 시대에 기생 소재의 노래가 많은 이유 - 1950, 60년대 유흥업소의 댄서 등장 - 1960년대 이후의 노래변화: 기생의 신세 한탄에서 호객 행위로 - 1980년대, 트롯 가요의 새로운 안착 - 1980년대 트롯노래의 특징 - 생활 속의 수동적인 여성상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안다성의 , 조미미의 과 , 주현미의 , 문희옥의 , 심수봉의 ㆍ제12강 노래 속의 여자(3) - 수동적 여성상과 트로트 양식의 원리 - 수동적인 이미지로 기억되는 여성 - 일제 시대 자유 연애를 즐기는 남성, 불안한 위치의 구식 여성과 신여성 - 변화하는 남성, 지속되는 여성 - 1960년대 서양음악과 서양 여성상의 등장 - 트롯의 대표적인 여성상: 이미자의 (1968) - 이농화 시대의 노래 - 1970년대 이후 여성상, 그 새로움과 낡음 - 노래 분석 및 감상: 황금심의 , 이미자의 , 노고지리의 ㆍ제13강 노래 속의 여자(4) - 1970년대 이후 여성상, 그 새로움과 낡음 - 소녀, 수동적 여성상의 변형태 - , , , 등 - 70년대 초반 청년문화의 여성상: 경아 - 대학로에서 붙은 두 공연: 양희경의 모노드라마 vs - 1980년대 10대 중반의 여성상: 10대 수용층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조애희의 , 최희준의 , 윤시내의 , 김추자의 ㆍ제14강 노래 속의 여자(5) - 양희은의 등장 및 작은 변화의 조짐들 - 아주 작은 변화의 조짐: 양희은의 등장 - 70년대 대중가요 최고의 사회의식 - 하수영의 노래와 다음 세대의 변화: 변진섭 - 노래 분석 및 감상: 양희은의 와 , 이연실의 , 하수영의 , 송창식의 , 변진섭의 ㆍ제15강 노래 속의 여자(6) - 90년대 새로운 여성상의 허와 실 - 대중가요의 보수성 - 공일오비의 - 새로운 여성상의 허와 실 - 노래 분석 및 감상: 홍서범의 , 공일오비의 , 윤종신의 , 김준선의 , DJ DOC의 , 패닉의 , 노영심의 ㆍ제16강 노래 속의 여자(7) - 분노하는 여성상과 언더의 가능성 - 분노하는 여성상: 박미경의 , - 90년대 언더그라운드의 가능성 - 노래 분석 및 감상: 박미경의 , , 박상민의 , GOD의 , 안혜경의 , 자우림의 와 , 황보령의
    GO
  • 디지털 영화의 이해
    ㆍ제1강 디지털 영화 이미지의 특징(Ⅰ) / 박성수 - 디지털 영화의 미학적 접근 - 디지털 매체와 기존 전자 매체와의 차이점 - 공간성과 시간성의 변화 -> 디지털 이미지의 비공간성, 디지털 이미지의 무시간성 ㆍ제2강 디지털 영화 이미지의 특징(Ⅱ) / 박성수 - 비공간성과 무시간성: 장치와의 관련성 - 디지털 이미지란 무엇인가? : 감각과 사유 논쟁 - 디지털 이미지의 특징: 잡종성(hybrid) - 전통적 영화 개념의 변화 -> 프레임과 시점 개념의 변화, 몽타주 개념의 변화 - 디지털에 대한 현상학자들의 비판 - 디지털 특수 효과는 사유할 시간은 주지 않았다? - 벤야민의 아우라(Aura) 재해석 - 디지털의 긍정성은 없나 ㆍ제3강 디지털 기술에 의한 새로운 내러티브(Ⅰ) / 서정남 - 문자 서사와 음영 서사의 차이점 - 영화, 영상물 분석/비평 방법론 - 서사학 관련 20C 서구 지성사의 두 흐름: 소쉬르 중심의 , 러시아 형식주의자 제4강 디지털 기술에 의한 새로운 내러티브(Ⅱ) / 서정남 - 문자 서사와 음영 서사의 차이 :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- 사건(Thing that happens) - 영화 사례 분석 - 가로지르기 ㆍ제5강 디지털 기법에 따른 영화 개념들의 변화(Ⅰ) / 박성수 - 영화의 변화 : 프레임 및 몽타주 개념의 변화, "재현" 개념의 문제 - 시뮬레이션(simulation) : 모방과 재현 대체, 관객 몰입 방식 - 영화의 변화 : 리얼리티 개념의 변화 : 가상 현실(virtual reality)의 한계 ㆍ제6강 디지털 기법에 따른 영화 개념들의 변화(Ⅱ) / 박성수 - 영화의 변화 : 프레임의 해체 - 메츠: 사람들이 영화를 보는 이유 - 디지털 기술이 우리 지각에 끼치는 영향 ㆍ제7강 디지털 기법에 따른 영화 개념들의 변화(Ⅲ) / 박성수 - 디지털 동영상과 몽타주 - 영화의 양대 미학 : 리얼리즘과 표현주의, 또는 롱 테이크와 몽타주 - 장 미트리 (Jean Mitry) 영화이론 - 틈의 소멸 ㆍ제8강 디지털 기법에 따른 영화 개념들의 변화(Ⅳ) / 박성수 - 틈의 소멸과 비판적 사유 - 매체의 의식 : 모더니즘 전략의 대중화 - 들뢰즈는 왜 영화를 중시하나? - 질의 토론 ㆍ제9강 디지털 영화와 관객성 - 현상학적 영화 이론에서 본 관객성 - 현상학과 의식의 지향성 - V. 소박의 영화이론 : V. 소박은 왜 영화에 주목하나? ㆍ제10강 디지털 영화의 사회문화적 위치(Ⅰ) / 홍성태 - 디지털 영화의 사회문화적 특징 : 디지털의 신화화 이유 - 디지털 영화의 가능성 - 전기 혁명에서 문화혁명으로 ㆍ제11강 디지털 영화의 사회문화적 위치(Ⅱ) / 홍성태 - 디지털 영화의 특성 : 시뮬라시옹 - 디지털 영화의 가능성 : 문화민주주의와 대중의 시대 - 시네마 파라디소
    GO
  • 세계영화사
    ㆍ제1강 세계 영화사 개관 - 1895년 영화의 탄생∼1980년대 이후 현대 영화의 흐름 개관 - 영화의 시작 - 1920년대 영화: 소비에트 몽타쥬(Soviet Montage), 독일 표현주의 - 1930년대 영화: 할리우드, 유럽, 소련 - 1940년대 영화: 유럽 - 1950년대 영화: 할리우드, , - 프랑스: 시네마 베리떼 Cinema Verite 등장, 중남미, 아시아 - 1960, 70년대 영화와 1980년대 영화 - 중국 영화의 새로운 등장 ㆍ제2강 미국 영화의 기원 - 에디슨, 그리피스의 무성 영화와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기원 고찰 - 영화 탄생 후 나타난 두 가지 경향: 뤼미에르와 멜리에스/사실주의와 표현주의 - 미국 극영화의 아버지, 그리피스 D. W. Griffith의 (1915) - 미국 영화의 코미디 전통 시작: 찰리 채플린 - 할리우드의 탄생 ㆍ제3강 독일 표현주의 - 무성 영화 시기의 양대 산맥인 독일 무성 영화의 조류와 집중 분석 - 독일 표현주의의 세가지 중요한 유형 - 기술적 양식의 발전 - 독일 표현주의가 헐리우드에 미친 영향 - 프릿츠 랑의 (1927) 분석 제4강 소련 몽타쥬 영화의 미학과 시대적 배경 - 소련 혁명기의 변증법적 몽타쥬 특성을 등을 통해 분석한다 -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 - 무성 영화의 세 거장들 - (1925)의 몽타주 이론 - 푸도프킨 vs 에이젠쉬타인 - 히치콕 - 에이젠쉬타인의 배우연기 이론(띠빠쥬 이론, 전형화 이론) - 도브첸코의 ㆍ제5강 1930∼40년대 고전적 할리우드 - 할리우드 전성기의 고전적 양식의 특성을 알아본다. - 집중 분석 - 1930년대 미국의 상황 - 할리우드의 블랙리스트 - 오손 웰스의 ㆍ제6강 이탈리아의 네오 리얼리즘 - 극영화와 기록 영화의 경계를 허문 영화 미학 - 집중 분석 - 1930년대 프랑스 영화의 황금기: 장 비고(Jean Vigo) 감독의 (1933) - 주요 감독들 -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 - 주요 감독들: 로베르토 로셀리니 Roberto Rossellini의 (1945), 루치노 비스콘티 Luchino Visconti의 (1942) - 네오 리얼리즘의 걸작, (1948) - 의 결말 처리 ㆍ제7강 프랑스 누벨 바그(1) - 독립 영화의 시작, 반(反)할리우드의 효시 - 집중 분석 - 누벨바그(Nouvell Vague) - 마르셀 까뮈의 , 프랑수와 트뤼포의 (1959), 알랭 레네의 , 장 뤽 고다르의 (1960) - 누벨바그 출현의 계기 - 알랭 레네의 ㆍ제8강 프랑스 누벨 바그(2) - 고다르, 트뤼포 등의 초기 누벨 바그의 공로자 작품 분석 - 장 뤽 고다르의 (1962년) - 프랑스와 트뤼포의 (1973) - 고다르와 트뤼포 비교 - 누벨바그의 영향 ㆍ제9강 제3세계 영화(1) - 할리우드, 유럽 영화의 대안으로 출발한 제3세계 영화 개관 - 집중 분석 - 의 규정과 제3세계의 영화적 저항 - 사회 변혁을 위한 혁명 영화: 아르헨티나의 , 브라질의 시네마 노보, 쿠바 영화 - 과 제3영화론 - "「제3영화를 위하여」" ㆍ제10강 제3세계 영화(2) - 칠레 영화 집중 분석 - 아옌데 대통령과 네루다 시인 - 미구엘 구틴의 의 영향: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의 , 엘비오소토 감독의 - 새로운 다큐 미학 창출 ㆍ제11강 1980년대 문제작(1) -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걸작 분석 - 소련 영화와 타르코프스키 감독 - , , , - 시적 영화의 전통 - 『봉인된 시간』과 『순교 일기』 - 감독의 시각은 무엇인가? - 타르코프스키의 영향 ㆍ제12강 1980년대 문제작(2) - 인종, 계급 문제를 SF로 풀어낸 분석 - 리들리 스콧 감독의 (1982) - SF 영화와 SF 괴물의 변천 - 에 나타난 에일리언 이미지 - 의 여자 사이보그 레이첼 ㆍ제13강 여성 영화의 흐름 - 남성 중심 영화 흐름에 대한 반격 - 분석 - 영화 속 페미니즘 탐구의 두 방향 - 우리 영화 속 여성 묘사 ㆍ제14강 퀴어 시네마의 흐름 - 이성애 질서와 성/젠더의 고정 관념에 대한 저항 - 집중 분석 - 퀴어(Queer)의 개념과 퀴어 영화 - (1994) - (1992)의 남성과 여성 - 퀴어적 관점의 유행: 와 - 커밍아웃(coming out) ㆍ제15강 1980년대 이후 현대 영화의 흐름(1) - 컬트 영화, 누벨 이마쥬의 대표적 감독 데이빗 린치와 레오 까락스 - 컬트 영화의 개념과 왜곡 수용된 컬트 개념 - (광란의 사랑), , , - 프랑스 누벨 이마주의 두 감독: 뤽 베송. 레오 까락스 - , , ㆍ제16강 1980년대 이후 현대 영화의 흐름(2) - 민족, 계급의 사회성 의식을 담는 영화들 - 올리버 스톤, 스파이크 리, 첸 카이거 - 올리버 스톤 Oliver Stone의 월남전 3부작: , , - 베트남전 영화들의 공통점 - 스파이크 리 감독의 , - 중국의 제5세대 영화 사조: 첸 카이게, 장예모 감독 - 첸 카이게의 ,
    GO
  • 세계영화사조론
    ㆍ제1강 영화의 출현 - 영화의 탄생 - 영화의 효시 논쟁에 대한 새로운 시각 - 에드워드 머이브릿지(Eadweard Muybridge)의 실험 - 필름의 발명과 영화 개념의 변천 ㆍ제2강 초창기 영화 - 영화의 기원―뤼미에르 형제의 승리 - 초창기 영화의 특징 - 초창기 영화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 - 영화의 대변환: - 초기 영화의 분류 - 에서 보여지는 후기 초창기 영화의 특징 - 초창기 영화의 도약: (1903), (1903) - 영화사의 과도기 - 「필름 다르 Film d'Art」 운동의 전개(1908-1911) - 이탈리아의 장편 극영화 유행 - 미국 영화 중심지의 이동 ㆍ제3강 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세계 영화산업 패권 장악 - 세계 영화산업 지형의 변화 - 미국 영화 제작 구조의 변화: 1914년 - 제1차 대전으로 인한 유럽 영화 제작 시스템의 마비와 미국 영화의 부상 - (1915)과 (1916) - 에 대한 재고 -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완성 - 스타 시스템 제4강 독일 표현주의 - 1920년대의 영화 구도와 독일 영화 - 의 정의와 특징 - 독일 영화는 왜 표현주의를 표방했는가? - (1920) - 내셔널 시네마로서의 독일 표현주의 영화 - , 등 ㆍ제5강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 -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의 대표 작가들 - 몽타주 작가들의 업적 - 우리나라의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의 영향 - 에 대한 찬사 - 1917년 이전 러시아 영화 - 전쟁―러시아 토착 영화산업의 기초 - '러시아 스타일'이란 무엇인가? - 러시아 혁명과 영화산업의 함수 관계 - 영화의 국영화 또는 예술의 도구화 - 1925년 미학적 실험―에이젠쉬타인의 이론 - , 프세블로트 푸도프킨의 - 좌파 영화인들과 할리우드 영화의 차이 ㆍ제6강 유성 영화의 출현과 할리우드 황금기 - 유성 영화의 효시, - 유성 영화 시대 이전의 음향 - 는 과대 평가되는가? - 1920년대 말, 초기 유성 영화의 걸작 - 1929년 10월 24일 대공황 - 1930년대의 할리우드 이미지 -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: (1939), ㆍ제7강 프랑스 시적 사실주의 - 왜 1930년대가 프랑스 영화의 황금기인가? - 시적 사실주의 감독들 - 영화의 공통점 - 장 르누아르 감독의 (1938)의 경우 ㆍ제8강 제2차 세계대전과 영화 - 영화와 제2차 세계대전 - 2차 대전 전후 미국 영화 대표작 탄생: 오손 웰즈의 (1941) - 전쟁 중 영화의 기능 - 1930년대 유럽 영화의 애국적 성격 - 전쟁중 독일 및 이탈리아 영화: (1935), (1938) - 유럽과 할리우드 경우 ㆍ제9강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- 네오 리얼리즘의 영향 - 네오 리얼리즘에 대한 논쟁 사항 - (1942), (1945), (1945) - 네오 리얼리즘의 특징과 스타일 - 할리우드와 네오 리얼리즘 - "거리로 직접 나서라" ㆍ제10강 '예술 영화'의 만개 - 1950년대 미국 - 매카시 선풍 - 텔레비전의 등장과 생활 습관 변화 - (1950), (1955), - 예술 영화의 정의와 특징 - , (1951) ㆍ제11강 프랑스 누벨바그 - 장 뤽 고다르, 프랑수아 트뤼포, 클로드 샤브롤, 자크 리베트, 에릭 로메르 감독 - 과연 누벨바그는 영화운동인가? - 작가 정책의 의미 - 누벨바그 감독들의 사회적 인식 - (1956), 프랑스와 트뤼포의 , 알랭 레네의 (1959), 장 뤽 고다르의 (1959) - 누벨바그의 한계 - 누벨바그의 점프 컷(jump cut) ㆍ제12강 세계의 뉴 웨이브 - 1960년대 혁명의 시대 - 뉴 웨이브(New Wave)의 진원지―1960년대 이후 프랑스 - 새로운 작가들의 영화 작업: 페데리코 펠리니,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- 와 - 뉴 이탈리아, 영국, 동유럽, 스페인, 일본 시네마의 흐름 - 혁명적 영화, 어떻게 만들 것인가? ㆍ제13강 뉴 아메리칸 시네마 - 뉴 아메리칸 시네마의 뒤늦은 등장 - 앤디 워홀, 요나스 메카스, 케네스 앵거 - 뉴 아메리칸 시네마 운동과 1960년대 - (1967), (1967), , , (1969) 분석 - 1960년대 뉴 아메리칸 시네마의 영향 ㆍ제14강 뉴 저먼 시네마 - 1970년대, 파스빈더와 벤더스, 슐뢴도르프 등 뉴 저먼 시네마의 기수들 - 독일 영화의 위상을 세계 만방에 과시하다 - 1970년대 뉴 저먼 시네마의 도래 - 뉴 저먼 시네마와 한국 영화 - 뉴 저먼 시네마의 탄생 배경: 오버하우젠 선언 - , , , , - 빔 밴더스,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- 1980년대의 뉴 저먼 시네마 ㆍ제15강 뉴 할리우드 시대 - 새로운 블록버스터 와 - 1970년대의 미국 영화 - 할리우드의 젊은 영화 악동들: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, 조지 루카스, 마틴 스콜세지, 스티븐 스필버그 - , , , (1978) - 의 성공 비결과 뉴 블록버스트 시대 진입 - 스티븐 스필버그와 조지 루카스 - 1980년대 세계 변방 영화들의 만개 - 사례: 스파이크 리의 , 존 싱클턴의 - 1980년대의 프랑스: 레오 까락스의 - 누벨 이마주와 누벨바그의 공통점 - 뉴 브리티시 시네마(New British Cinema) - 스페인 영화의 새로운 물결 - 1980년대 영화의 변방 아일랜드의 닐 조단 - 호주 영화의 새로운 흐름 - 1980년대 3중국 영화 중심의 아시아 영화의 약진 ㆍ제16강 변방 영화의 부상 - 이란 영화 중심의 아시아의 변방 영화들 - 쿠엔틴 타란티노 등의 미국의 인디 영화들 - 1990년대 한국 영화 - 세계 각국의 개별 작가들: 쿠엔틴 타란티노의 , - 쿠엔틴 티란티노 영화의 특징: 폭력과 블랙 유머 - 선댄스 영화제 - 영국, 아일랜드, 호주, 핀란드, 스페인, 브라질, 중국 - 3중국 영화 - 1990년대 이란 영화의 부상: - 이란 영화의 공통적인 경향
    GO
<< 1 2 3 4 5 6 7 8 9 10 > >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