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품소개
Product Descriptions
-
들뢰즈「영화1」읽기ㆍ제1강 운동에 관한 논제들 1 : 운동과 순간 - (p.9~15) - 베르그송: 운동과 순간 - 제논의 역설, 러셀의 역설 - 영화적 환영: 카메라의 지각 방식 - 환영의 교정 - 특수한 순간들과 불특정한 순간 ㆍ제2강 운동에 관한 논제들 2 : 운동과 변화 - (p.15~24) - 근대 과학과 시간의 관계 - 이미지와 등간격성 - 특수한 순간: 에이젠슈타인의 ‘비장함(pathetique)’ - 예술의 진보와 ‘우발성’: 프레드 아스테어와 찰리 채플린 - 운동과 변화: 설탕물의 예 ㆍ제3강 화면틀과 쁠랑 1 : 화면틀과 화면잡기 - (p.24~40) - ‘전체’와 ‘집합’ - 화면틀, 집합 혹은 닫힌 체계 - 화면틀의 기하학적/물리적 경향 - 화면틀: 이미지의 탈영토화 - 화면잡기의 각도와 틀-바깥 ㆍ제4강 화면틀과 쁠랑 2 : 쁠랑과 운동 - (p.40~48) - 쁠랑과 운동 - 히치콕의 〈프렌지〉, 〈새〉 - 이동촬영과 운동-이미지 - ‘해방’: 영화의 위대한 순간 ㆍ제5강 화면틀과 쁠랑 3 : 쁠랑의 통일성 - (p.48~56) - 몽타주와 카메라의 운동 - 쁠랑의 통일성: 네 가지 구분 - 통일성으로서의 쁠랑이 갖는 긴장 - 허구적 연결 ㆍ제6강 편집 1 : 미국과 소련 유파 - (p.62~80) - 편집이란 무엇인가 - 미국 유파의 유기적 경향 ① 평행적 교차편집, ② 클로즈업의 삽입, ③ 내러티브 - 미국 영화: 강력한 유기적 재현 - 소련 유파의 변증법적 경향: 에이젠슈타인 - 베르토프의 변증성: ‘물질-눈’ ㆍ제7강 편집 2 : 프랑스와 독일 유파 - (p.81~104) - 전전(戰前) 프랑스 유파의 양적 경향 - 운동-이미지의 광범위한 기계적 구성 - 프랑스 영화: 유기성과의 단절 - 독일 표현주의의 강렬함 - 독일 영화: 사물들의 비유기적인 생명과의 연관 ㆍ제8강 이미지와 운동의 정체성 - (p.112~120) - 의식의 질서: 유물론과 관념론 - 자연적 지각의 조건들 - 이미지: 작용과 반작용 - 이미지와 운동의 절대적 동일성 ㆍ제9강 운동-이미지와 그 세 가지 양상 - (p.120~135) - 운동-이미지로부터 그 변주들로 - 틀 잡기 작업 - 운동-이미지의 전신 ①지각-이미지, ②행동-이미지, ③감화-이미지 - 어떻게 세 가지 변주를 소멸시킬 것인가 - 베케트의 〈필름〉에서 본 세 가지 운동-이미지의 소멸 ㆍ제10강 지각-이미지 - (p.139~163) - 객관적 지각-이미지와 주관적 지각-이미지의 구분 - 미트리의 반-주관적 이미지 개념 - 영화적 이미지의 언어적 유추 - 지각의 또 다른 상태, 액체적 지각과 기체적 지각 - 고체에서 액체, 액체에서 기체적 지각으로 ㆍ제11강 감화-이미지 - (p.168~259) - 얼굴의 양 극단: 힘과 특질 - 감화-이미지의 두 가지 주된 기능 - 그리피스와 에이젠슈테인 - 실체로서의 감화 - 충동-이미지와 자연주의 ㆍ제12강 행동-이미지 - (p.264~322) - 상황에서 행동으로: 이차성 - 공기호(synsigne)와 이항(binoe) - 감관-운동 연결 - 행동-이미지의 큰 형식과 작은 형식
-
리좀이란 무엇인가ㆍ제1강 텍스트와 층화 I - 선형적 질서에서 원형적 질서로 - ‘사이들’과 ‘그리고’ - 리좀(rhizome) 개념 - 저자의 죽음, 주체의 죽음 ㆍ제2강 텍스트와 층화 Ⅱ - 책 바깥으로 나가기, 텍스트 짜기 - 탈주선, 탈영토화, 탈층화 - 배치와 다양체 - 분절과 절편성 - 층(層) ㆍ제3강 기계, 배치, 디아그람 I - 영토화/코드화 - 탈코드화 - 기계적 배치와 언표적 배치 - 배치: 장(場)의 형성 ㆍ제4강 기계, 배치, 디아그람 Ⅱ - 선과 속도, 배치 - 실사(實詞)의 지위를 얻은 다자(多者) - 수적 복수성, 외적 복수성, 현실적 복수성 - 여럿이면서 주어: 배치와 다양성 ㆍ제5강 탈기관체 I - 탈기관체와 혼효면 - 기계적 배치의 층화: 유기화, 기표화, 주체화 - 절대적 탈영토화 - 탈기관체의 추구: 신의 심판/판단에의 저항 ㆍ제6강 탈기관체 Ⅱ - actual과 virtual - 들뢰즈/가타리: 잠재성의 사유 - 실재적인 것, 상상적인 것, 상징적인 것 - 탈기관체 강도(intensity) 개념 - 욕망의 내재장(內在場) ㆍ제7강 글쓰기의 양화 - 신중함(prudence)’의 기예 - 충만한 탈기관체를 향하여 - 책의 탈기관체 - 쓰기를 양화하라 ㆍ제8강 혼효면, 혼화면, 기계 - 도안/면(‘플랜’) - ‘사이들’에 입각해 이루어지는 운동들 - 혼효면/혼화면=내재면 - 추상기계와 기계적 배치 - 추상기계의 종류와 특성 ㆍ제9강 책의 두 가지 유형 - 책의 첫 번째 유형: 뿌리-책 - 자연적 실재로서의 책, 정신적 실재로서의 책 - 책의 두 번째 유형: 어린뿌리 체계 - 땅밑 줄기, 리좀 - 연결접속의 원리, 다질성의 원리 ㆍ제10강 리좀을 구성하는 원리들 I - 연결접속의 원리 - 다질성의 원리 - 다양체의 원리 ㆍ제11강 리좀을 구성하는 원리들 Ⅱ - 다양체의 원리 - 탈기표적 도약의 원리 ㆍ제12강 리좀을 구성하는 원리들 Ⅲ - ‘되기’와 탈영토화/재영토화 - 비평행적 진화 - 지도 제작과 전사의 원리
-
매체담론의 현주소ㆍ제1강 마샬 맥루언의 『미디어의 이해』 I - “매체는 메시지다.” - 맥루언의 매체 정의 - 매체 구속적인 인간의 존재 방식 - 맥루언의 문체와 논변 방식의 특징 ㆍ제2강 마샬 맥루언의 『미디어의 이해』 Ⅱ - 매체에 대한 존재론적 입장 - 매체에 대해 인식론적 입장 - 내파와 외파 - 차가운 매체와 뜨거운 매체 ㆍ제3강 빌렘 플루스 『코무니콜로기』 I - 빌렘 플루스, 매체론적 역사철학의 진수 - 매체의 구분법: 담론적 매체들과 대화적 매체들 - 상징과 코드, 알파벳 코드 - 그림과 텍스트 ㆍ제4강 빌렘 플루스 『코무니콜로기』Ⅱ - 알파벳(엘리트 코드)과 그림 코드(민중의 코드)간의 투쟁 - 인쇄술의 등장과 과학 - 문자 텍스트의 위기 - 그림 코드 - 프로그램화 - 커뮤니케이션과 코드 ㆍ제5강 마이클 하임 『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』 - 가상현실의 형이상학 - 실재성의 문제 - 인터페이스에서 사이버스페이스로 - 가상현실의 본질 ㆍ제6강 앤드류 달리 『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』 I - 스펙터클로서 발휘되는 현대 영상의 위력 - 극사실주의 - 대중문화의 미학 - 책 내용의 핵심 ㆍ제7강 앤드류 달리 『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』 Ⅱ - 앤드류 달리의 주요 언명들 - 달리의 맥루언적, 플루스적 매체론 ㆍ제8강 피에르 레비 『사이버 문화』 I - 사이버 문화의 마당발, 페에르 레비 - 사이버 문화에 관련한 피에르 레비의 여러 이야기들 - 사이버공간, 가상, 디지털화, 하이퍼텍스트, 멀티미디어, 사이버문화 ㆍ제9강 피에르 레비 『사이버 문화』 Ⅱ - 가상공동체, 가상현실, 지식의 나무, 공동 지적 자산(CI) - 지식공간의 새로운 모델, 사이버예술, 노동 - 사이버 문화에 대한 피에르 레비의 핵심 주장 ㆍ제10강 폴 비릴리오 『정보과학의 폭탄』 I - 사이버시대의 비관적 묵시록 - 비릴리오의 주요한 언명들 ① - 세계화와 미국 ㆍ제11강 폴 비릴리오 『정보과학의 폭탄』 Ⅱ - 비릴리오의 주요한 언명들 ② - 지리적-국지적 차원에서 탈지리적-전지구적 차원으로 ㆍ제12강 마크 포스터 『뉴미디어의 철학』 - 사물 없는 말 - 탈산업사회의 개념: 벨과 수사학적 논리의 문제 - 드리야르와 텔레비전 광고: 경제의 언어 - 푸코와 데이터 베이스: 참여 감시 ㆍ제13강 프랑크 하르트만 『매체 철학』 I - 상상적인 공간들 - 계몽과 공개 : 칸트에서의 이성적 진리의 조건들 - 글, 말, 사유 : 언어철학적 맹아의 지형 - 언어의 너머 : 프리츠 모터너의 언어철학의 급진화 ㆍ제14강 프랑크 하르트만 『매체 철학』 Ⅱ - 하르트만이 요약하는 매체철학의 전사(前史) - 퍼스, 프레게, 오토 노이라트 - 발터 벤야민, 귄터 안데르스, 이니스, 맥루언, 플루스
-
모더니즘의 미학ㆍ제1강예술, 철학, 모던Ⅰ ㆍ제2강예술, 철학, 모던Ⅱ: 칸트의 형식미학 ㆍ제3강모던의 선취로서 낭만주의 ㆍ제4강니체에서 쇼펜하우어로Ⅰ ㆍ제5강니체에서 쇼펜하우어로Ⅱ ㆍ제6강콘라드 피들러: 직관으로서의 예술 ㆍ제7강발터 벤야민: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ㆍ제8강아도르노와 귄터 안더스 ㆍ제9강프란츠 코페 / Arthuv Danto ㆍ제10강모던에 대한 보수적 옹호와 비판 ㆍ제11강모던의 종언? / 모던에서 포스트모던으로 ㆍ제12강철학과 도시건축